뉴 노멀 시대의 음악과 세계의 문화 동질화 현상
방탄소년단을 비롯해서 케이팝(K-POP) 아이돌이 맹렬한 기세로 전 세계의 문화 패턴의 흐름을 완전히 바꿔놓은 것을 확인했을 것입니다. 이런 현상은 90년대에 시작된 거대한 흐름인 세계화와 정보화가 초래한 새로운 풍경이라고 할 수 있을 텐데요. 20세기 산업사회는 인간의 노동과 자본이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간주되었었죠. 하지만 21세기는 정보 통신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노동과 자본보다는 지식과 정보가 가장 중요한 자원이 되었습니다. 그것을 정보사회라고들 하는데요. 즉, 20세기가 산업사회였다면 21세기는 정보사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보화된 우리 사회는 인터넷을 통해서 전 세계의 문화 교류 방식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케이팝이 대규모의 해외 팬들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 정보화에 힘입은 바가 큽니다. 정보화와 함께 거론되는 현대 사회의 또 다른 키워드는 바로 세계화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이 세계화라는 것은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 간의 교류가 확대되면서 개인과 사회 집단이 하나의 세계 안에서 삶을 영위해 가는 과정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그러니까 사람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범위가 지역이나 국가에 한정되어 있었던 과거의 상태에서 전 세계적인 범위로 확대된 것을 세계화라고 합니다. 이런 세계화로 인해서 국가 간의 문화 차이도 점점 줄어들면서 세계의 문화가 점차 동질화되고 있죠.
정보화와 세계 문화의 동질화 현상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화는 온라인 중심으로 정보화가 대규모의 범위에서 유동하기 때문에 정보화 사회에서는 수평적 Interactive 커뮤니케이션 체제가 확산되면서 새로운 변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가령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SNS의 등장으로 사람들 간의 관계를 맺는 행위가 다양해지면서 사회적 여론을 형성하는 과정도 달라졌고요. 또 대중문화를 즐기는 패턴도 달라졌습니다. 이런 변화는 정치 영역에의 시민 참여 기회를 확대하게 만들어주기도 했는데요. 가령 미국 대선 후보들의 선거 활동을 보면 후보들의 선거용 웹사이트가 실질적인 참여 민주주의를 실현해 준 사례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에는 케이팝이 전 세계로 확대되면서 수많은 국가에 케이팝 팬덤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 준 것 역시 이런 세계화와 정보화의 패러다임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을 겁니다. 전체로서의 지구. 지구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고를 느끼게 해 준 사건들이 있었습니다. 코로나19가 있었고요. 또 전 세계적인 팬덤을 일으키고 있는 케이팝의 확산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을 겁니다. 그만큼 SNS를 통해 연결된 사람들의 문화를 즐기는 패턴에서도 지구가 하나로 연결된 망이라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는데요. 이런 사실들은 과거에는 한 지역의 사건이 다른 지역과 아무 관계없는 일일 수 있었지만 현재는 인류가 한배를 타고 있는 공동 운명체라는 사실을 실감케 해주고 있습니다. 즉, 과거에는 일상적이지 않았던 현상들이 최근 새로운 현상이 되어서 일상에 자리 잡게 되었는데요. 이런 현상을 바로 '뉴 노멀'이라고 합니다.
뉴 노멀의 의미
여러분도 뉴 노멀의 시대라는 말을 자주 들어본 적이 있을 텐데요. 뉴 노멀이라는 것은 경제나 사회 등 급격한 위기가 발생한 이후에 새롭게 정착된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1차 세계대전이라든가 또 2007년, 2008년에 있었던 금융위기 또 9. 11과 같은 사건이라든가 또 2008년에서 2012년에 글로벌 경기 침체가 가져온 여파라든가 또 코로나19 팬데믹 등과 같은 이런 큰 사건과 관련되어 사용되어 온 말이기도 한데요. 새로운 경제 질서의 시대라는 의미를 가진 뉴 노멀이라는 말은 사실 지난 2008년에 그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에 처음 등장한 용어입니다. 그런데 2019년 말에 발생한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하게 되면서 그 의미가 좀 더 확장돼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세계는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21세기 들어서 변화에 가속도가 붙었죠. 그래서 기후 위기가 심화되고 있고, 또 초저출산 문제라든가 또 세계 질서가 다극화되고 있는 현상, 그리고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위기 팬데믹의 일상화, 또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술의 발전에 따른 세대의 단절 뭐 이런 문제들은 우리에게 새로운 질서, 새로운 일상, 새로운 기준을 요구하게 되었습니다. 이른바 뉴 노멀의 시대적 규율과 가치관 등을 요구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그런 의미에서 뉴 노멀은 안정적인 규범과 질서가 정착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즉, 기존의 규범과 질서는 와해돼 버렸고요. 그래서 새로운 규범과 질서가 만들어지고 있는 과정 중에 있는 상태 바로 그것이 뉴 노멀입니다.
'대중 음악, 일본 음악, 힙합 문화, 뉴노멀 시대 음악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 노멀 시대의 청년 문화 (0) | 2022.07.30 |
---|---|
뉴노멀시대와 대중음악의 역사 - 케이팝 (0) | 2022.07.29 |
뉴 노멀 시대와 BTS (0) | 2022.07.29 |
1960년대 일본의 대중음악 문화 (0) | 2022.07.29 |
1960년대 일본의 시대상과 청년 문화 (0) | 2022.07.28 |